본문 바로가기
경제용어 알아가기

[금융용어] 슈바베지수

by 실지정 2023. 4. 16.
반응형

슈바베지수이란

슈바베지수(Shiller P/E Ratio)이란 CAPE 지수(Cyclically Adjusted Price-to-Earnings Ratio)로 불리기도 하는데 미국의 경제학자 로버트 쉴러가 개발한 주식 가격 지표입니다. 슈바베 지수는 현재 시장 가격 대비 지난 10년간의 기업 이익을 고려하여 산출됩니다. 즉, 현재 시장 가격이 기업의 실제 가치에 비해 고평가 되어 있는지, 저평가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일반적인 주가 수익률 지표인 P/E Ratio와는 달리, 슈바베 지수는 미래의 수익을 예측하는 것이 아니라, 지난 10년간의 이익을 평균하여 현재 주가와 비교합니다. 이는 일시적인 변동성을 제거하고 장기적인 경제 실적을 반영하여 현재 시장 가격의 적정성을 판단할 수 있도록 돕는 지표입니다.

슈바베 지수는 장기적인 경제 실적을 반영하므로, 시장의 고평가 또는 저평가 상태를 판단하는 데 유용합니다. 또한, 슈바베 지수는 전반적인 경제 상황과 기업 실적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습니다. 하지만, 슈바베 지수는 경제 실적을 나타내는 다른 지표들과 함께 고려해야 하며, 완벽한 지표는 아닙니다.

 

슈바베지수의 배경

슈바베 지수의 배경은 미국 경제학자 로버트 쉴러가 개발한 지수로, 미국 주식시장의 가치를 파악하는 지표 중 하나입니다. 슈바베 지수는 주가를 현재 주당순이익(Earnings per Share, EPS)로 나눈 주가수익비율(P/E ratio)을 10년간의 이동평균으로 나누어 계산합니다. 이를 통해 현재 주가가 과대평가 또는 과소평가되었는지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

슈바베 지수는 1980년대 초반부터 로버트 쉴러가 개발한 P/E 10배 지표를 기반으로 합니다. 이는 주가를 10년간의 이동평균 순이익(EPS)으로 나눈 지표로, 주식시장의 장기적인 가치 변동을 보는 데 있어서 유용한 지표로 인정받았습니다. 이후 쉴러는 1990년대에 주식시장에서 발생한 금융위기와 닷컴버블 붕괴 등으로 인해 주가와 실제 기업의 가치가 동조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슈바베 지수를 개발했습니다.

슈바베 지수는 2008년 금융위기 이후 미국 경제학계에서 화두가 되었습니다. 2008년 금융위기에서 인한 주가 폭락은 슈바베 지수가 예측한 것보다 더 큰 폭으로 나타났기 때문입니다. 이후 슈바베 지수는 미국 주식시장이 지나치게 고평가 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지표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슈바베지수의 장점

1. 종합적인 경제 지표로 사용 가능: 슈바베지수는 주가, 환율, 이자율 등의 다양한 경제 지표를 종합하여 계산되기 때문에 경제의 전반적인 상황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2. 시장 예측에 활용 가능: 슈바베지수는 경제 전반적인 상황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통해 미래의 경제 상황을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3. 다른 지표와 비교 가능: 슈바베지수는 다른 지표와 비교해 볼 때도 유용합니다. 예를 들어, 주가가 급등할 때 슈바베지수가 낮다면 시장이 안정적이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슈바베지수의 단점

1. 경제 전반적인 상황만 반영: 슈바베지수는 경제 전반적인 상황을 반영하기 때문에 어떤 부분이 문제인지 명확하게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예를 들어, 특정 기업의 문제가 경제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는 어렵습니다.

2. 시장 변동성에 영향을 받음: 슈바베지수는 다양한 지표를 종합하는 것이기 때문에 시장 변동성이 크다면 예측하기 어렵습니다.

3. 미국 경제 중심: 슈바베지수는 미국 경제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다른 지역의 경제 상황을 반영하기 어렵습니다.

 

슈바베지수의 시사점

슈바베지수의 시사점은 경제 상황의 총괄적인 파악과 경제 정책의 방향성 제시에 대해 큰 역할을 합니다.

슈바베지수가 상승하는 경우, 경제의 회복 신호로 간주됩니다. 이는 기업의 생산성과 수익성이 향상되었음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취업률이 증가하고 소비자 신뢰도가 상승하여 소비가 증가하면서 경제 활동이 활발해지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반대로 슈바베지수가 하락하는 경우, 경기가 침체되었다고 판단됩니다. 이는 기업의 생산성이 낮아져 수익성이 감소했음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또한 고용 시장이 악화되고 소비자 신뢰도가 하락하면서 경제 활동이 저하되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따라서 슈바베지수는 경제 상황에 대한 전반적인 파악이 필요한 정책 결정자들에게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합니다. 이 지표를 활용하여 경제 활동의 촉진과 안정을 위한 적절한 정책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습니다.

 

슈바베지수의 방향성

슈바베지수의 방향성은 기업의 경영을 더욱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슈바베지수의 방향성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슈바베지수는 기업의 재무 건전성을 높이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슈바베지수가 높을수록 기업은 안정적인 재무 상태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기업은 슈바베지수를 높이기 위해 자산 증감을 잘 조절하고, 적정 수준의 부채와 자본을 유지해야 합니다.

2. 슈바베지수는 기업의 활동성을 높이기 위한 방향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슈바베지수가 높을수록 기업은 자금 조달이 용이해지고, 자본 활용도가 높아집니다. 따라서 기업은 슈바베지수를 높이기 위해 재고 회전율을 높이고, 적정 수준의 자금 조달을 실시해야 합니다.

따라서 슈바베지수의 방향성은 기업이 안정적이면서도 활동적인 경영을 통해 경쟁 우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기업은 자산과 부채, 자본의 적정한 구성과 자금 활용을 효율적으로 관리해야 합니다. 또한, 슈바베지수는 기업이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을 이루는 데도 매우 중요한 지표이므로, 기업은 슈바베지수를 높이는 데 최선을 다해야 합니다.

반응형

댓글